올해 추석에도 국회의원들에게 거액의 명절 휴가비가 지급됐다. 425만 원을 받은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부산 해운대구 을)은 “이 돈을 어려운 이웃들과 함께 나누겠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오늘 제 통장에 어김없이 명절 휴가비 424만 7940원이 찍혔다. 마음이 무겁고 송구할 따름”이라고 했다.
그는 “작년에도 저는 명절 떡값을 받으며 느낀 불편한 심경을 페이스북에 올렸고, 많은 분이 공감과 문제 제기를 해주셨다”며 “저는 국회의원이 된 첫해부터 코로나로 자영업자 수십 분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참담한 현실을 보며 세비로 제 주머니를 채우는 것이 너무 불편했다”고 했다.
김 의원은 초선 때부터 세비 30%를 기부하고 있고, 작년 추석과 올해 설에도 명절 휴가비 일부를 기부하겠다고 밝혔었다.
김 의원은 “우리는 늘 국민과 민생을 외친다. 산불 현장에도 가고, 태풍 피해 현장에도 가고, 참사 현장에 가서 눈물을 흘리며 손을 잡는다”며 “그러나 정작 내 것을 내려놓고 나누지 않는다면 그 모든 말은 공허한 메아리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 정치권은 여전히 출판기념회를 열고, 자녀 결혼 청첩장에 계좌번호는 물론 카드결제 링크까지 버젓이 넣는 뻔뻔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이래놓고 민생을 외친다면 국민이 어떻게 신뢰할 수 있겠느냐”고 비판했다.
그는 “정치는 결국 책임과 염치다. 내 주머니 채우기를 줄이고, 고통받는 이웃과 함께 나누는 모습이 많아질 때 비로소 국회도 달라지고 대한민국 정치도 바뀔 것”이라며 “저는 이번 명절 휴가비도 어려운 이웃들과 함께 나누겠다. 그래도 제 삶에는 지장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염치없는 특권과 관행을 버리고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국회로 거듭날 때 비로소 대한민국 정치도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고 했다.
한편 올해 의원들이 상여 수당으로 받는 명절 휴가비는 총 850만 원이다. 설과 추석 각 425만 원이 입금된다.
이는 ‘월 봉급액의 60%를 지급한다’는 일반 공무원 수당 규정을 적용했다.
반면 직장인의 올해 추석 '떡값'은 70만 원이 안 됐다.
사람인이 기업 950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올해 추석 상여금을 지급하는 기업은 56.9%였다. 평균 지급액은 62만 8000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