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진 해양경찰청장이 15일 사의를 표명했다.

김 청장은 이날 언론에 배포한 자료를 통해 “순직 해경 사건 관련 대통령님의 말씀에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이 사건의 진실 규명과 새로운 해양경찰에 도움이 되고자 사의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김용진 해양경찰청장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고 이재석(34) 경사 순직 사건과 관련해 “해경이 아닌 외부의 독립적인 기관에 맡겨 엄정히 조사하라”고 지시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고인의 동료들로부터 ‘윗선이 진실을 은폐하고 있다’는 증언이 나왔다는 점을 짚었고, 이어 유가족과 동료들의 억울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며 이런 지시를 했다”고 했다.

앞서 갯벌에 고립된 70대 남성을 구조하다가 숨진 이 경사의 동료들이 15일 해경 내부에서 진실을 은폐하려고 한 시도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 경사와 함께 당직을 섰던 인천해양경찰서 영흥파출소 소속 팀 동료 4명은 인천 동구 장례식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영흥파출소장으로부터 이 경사를 ‘영웅’으로 만들어야 하니 사건과 관련해 함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파출소장이 처음 함구를 지시한 게 이 경사가 구조된 뒤 응급실로 이송 중이던 때”라며 “파출소장이 영흥파출소로 사용하는 컨테이너 뒤로 저희 팀원과 수색으로 비상 소집된 다른 팀원들을 불러 서장 지시사항이라는 내용을 들었다”고 했다.

당시 파출소 근무자는 이 경사 등 6명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 나선 4명은 사고 당시 팀장으로부터 새벽 3시까지 휴게시간을 받고 쉬고 있었다.

이 경사는 지난 11일 새벽 2시 7분 갯벌에 사람이 앉아 있다는 드론 순찰 업체의 신고로 혼자 현장으로 이동했다.

해양경찰청 훈령인 ‘파출소 및 출장소 운영 규칙’은 순찰차 탑승 인원으로 2명 이상을 원칙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사고 당시 이를 지켜지 않았다.

그는 당일 새벽 3시 발을 다친 A 씨를 구조하는 과정에서 실종됐다가 6시간여 만에 숨진 채 발견됐다. 이 경사는 구조 과정에서 무전으로 추가 인원 투입을 요청했었다.

팀원들은 팀장이 신속한 대응을 하지 않아 구조가 지연됐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팀장은 휴게시간을 마치고 컨테이너로 복귀했는데도 이 경사의 상황을 전혀 공유하지 않았다”며 “몇 분 뒤 드론업체로부터 신고를 받고 심각한 상황임을 인지했다”고 말했다.

한 팀원은 “이 경사 지인을 만나자 인천해경서장과 파출소장이 ‘어떤 사이냐’고 물은 뒤 ‘유족들한테 어떠한 얘기도 하지 말아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해양경찰청은 “그동안 유족에게 CCTV, 무전녹취록, 드론 영상 등 현시점에서 가능한 관련 자료 일체를 제공했다”며 “인천해경서장과 파출소장이 내부 진실을 은폐하려고 했다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됐으나 서장은 전혀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전했다”고 밝혔다.